본문 바로가기
토론마당

[국가서지통정]국가서지통정에 대한 잡다한 생각들 1 - 자료수집

by 포럼문화와도서관 2009. 2. 27.
 

[국가서지통정]국가서지통정에 대한 잡다한 생각들 1 - 자료수집


-------------------------------------------------


국가서지통정. 말 자체가 괜히 거창하고 어렵다. 도서관 관련 전공자가 아니라면 이 단어만 보고 무슨 뜻인지 알만한 사람은 없을것 같다. '서지'란 말은 그렇다 쳐도 '통정'은 나중에 기회되면 그 유래를 한번 찾아보고 싶을 정도이다. 국어사전에는 '통사정'의 준말이라고도하고 남녀간에 그렇고 그런 관계를 말한다고도 하는데 그런 뜻은 아닐테고..

영어의 CONTROL을 직역해서 '통제', 차라리 알기쉽게 서지작업 전반을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국가서지관리'라고 하는게 더 좋을 것 같기도 하다. 주제와 상관없는 개인적인 생각이었고, 국가서지통정과 관련해서 평소에 관심이 있었던 내용을 중심으로 몇가지 문제제기를 하고자 한다. 생각해 보니 한 3가지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을 것 같다. 그 하나가 지금 얘기하려는 자료수집에 대한 부분이고, 다음이 종합목록 데이터 구축과 활용, 마지막으로 국가 서지 목록 구축의 외주와 관련한 문제이다.


지금까지 이런저런 직장을 옮겨다니면서 어찌하다보니 국가서지통정과 업무상 직간접적으로 연관이 되었던 부분을 중심으로 정리해 볼려고 한다.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서


서지통정은 앞선 블로그 글에서 언급된바와 같이 "서지 작업 전반을 포함하는 용어로서, 출판물에 대한 서지 사항의 기록, 서지 기술의 표준화, 또는 네트워크나 종합목록을 통한 접근방법을 말하는 것"이다. 엄밀한 의미에서 자료의 수집이 서지통정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런데 서지통정을 얘기하면서 첫번째 주제로 자료 수집을 꺼낸 이유는 그냥 서지통정이 아닌 '국가'서지 통정이기 때문이다. 일단 서지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출판물'이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도서관에 책이 들어오고 등록이 끝난 다음에 목록작업에 들어간다. (요즘은 많은 도서관이 목록을 외주방식으로 진행하고 등록과 목록의 구분이 없는 경우도 있지만 다음에 논의하기로 한다) 자료 수집과 관련하여 여러가지 논의거리들이 있겠지만 국가서지통정과 관련해서 볼때 발간된 책이 '가장 신속하게' 도서관에 입수되어 목록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체계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는 단지 국립중앙도서관 이용자가 빨리 책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라기 보다는 우리나라 도서관 서지 작성의 표준을 신속하게 제시함으로써 '국가서지'를 최대한 가능한한 표준화 시킴과 동시에 국가자료종합목록의 질을 높이고, 도서관 목록 작업자의 업무의 시간과 노력을 절감시키기 위함이다. 뒤에 부분들은 다음 글에서 다룰 예정이고 여기서는 출판물이 생산되어 국립중앙도서관에 들어가는 단계까지만 다루기로 한다.


국립중앙도서관의 자료수집은 거의 전적으로 납본에 의존하고 있다. 2009년도 국립중앙도서관 자료정리사업 제안요청서를 보니 2009년도 목록 구축 대상이 총 396,910책이다. 이 가운데 구입 7,920책을 제외한 나머지의 대부분이 납본이고 기타 기증, 교환 등에 의해 입수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서관법 20조에는 발행 또는 제작일 30일 이내에 국립중앙도서관에 자료를 납본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납본을 안한다고 해서 별다른 처별을 받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미납본 비율이 '상당량'에 달할 것이고, 납본하더라도 바로바로 기일내에 납본하는 비율 또한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여러 논문에서 지적되기도 했고, 다들 잘 알고 있는 내용인데 이걸 문제삼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국립중앙도서관 차원에서 봤을때 신간자료를 즉각적으로 서비스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크게 중요한 사항이 아니다. 그런데 공공도서관에서는 사정이 좀 다를 수 있다. 도서관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하는말 - 서점가면 최신 책들, 보고싶은 책들 많은데 도서관에 가면 볼만한 책이 없어요! 도서관에 그 많은 책이 있는데도 이용자가 보고싶은 책이 없다는건 도서관이 사람들 안보는 책만 사다 놓은 것이 아니라 이용자들이 지금 당장 보고싶어하는 최신 책들이 없다는 의미로 받아들여도 될 것이다. 때문에 최근 마포서강도서관이나 동대문정보화도서관 등 몇몇 도서관에서는 신간 자료가 바로바로 도서관에 입수되어 서비스할 수있는 수서 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기도 한다. 이용자의 점점 높아져가는 눈높이를 맞추기 위해 이러한 공공도서관의 노력은 계속해서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여기서 한 출판물에 대해 국가기준이 되어야 하는 서지가 국립중앙에서 만들어지기도 전에 개별 도서관에서 만들어진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두가지 측면에서 문제점을 살펴볼 수 있는데 첫째는 개별도서관에서는 국가서지목록을 활용하지 못하고 별도로 서지를 만들어야 한다는 점이다. 당연히 시간과 돈이 소요된다. 보다 큰 문제는 (모든 공공도서관에서 만든 목록이 국가자료종합목록에 업로드된다고 가정할때) 가장 먼저 목록을 완성시킨 도서관의 서지 데이터는 도서관의 의지와 상관없이 국가자료종합목록 센터로 업로드 된다. 이론적으로 이 서지 데이터는 국가기준서지가 되고 이후에 책을 등록하는 도서관의 목록정보는 기준서지에 소장정보가 추기된다. 그 가운데 하나는 국립중앙도서관이 될 것이다. 아마도 가장 먼저 서지정보를 올린 도서관의 서지데이터는 목록외주업체에서 제작한 데이터일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대부분 그렇게 하니까. 목록외주업체들의 MARC 제작 능력을 무시하는것이 아니다. 어차피 국립중앙도서관의 MARC도 외주를 통해 만들어지고 있다. 물론 국가자료종합목록(그냥 이하 종합목록)의 서지정보는 도서관의 담당자 어느 누구나 수정 요청을 할 수 있고 그 내용을 반영하여 수정할 수는 있다. 하지만, 그 상징적인 면, 국가의 기준이 되는 서지가 적어도 국립중앙도서관이라는 우리나라 최상위 도서관 기구에서 인증한 데이터라는 믿음과 신뢰가 있어야 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이 부분은 따로 다음 글에서 쓸려고 하는데 쓰다보니 길어지면서 좀 뒤섞이는 면이 있다. 일단 여기까지 자르고 이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