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글179

<토독회 북리뷰> 서재에 살다: 조선 지식인 24인의 서재 2016년 벌써 3월이 지나가고 있네요. 포럼 문화와도서관 토요독서회(일명 토독회) 3월 모임 후기를 공유 합니다. 단순히 책을 쌓아 놓은 공간이 아니라 개인의 철학과 의지를 담아내고자 했던 조선 후기 당대 지식인들의 서재의 명칭에 얽힌 이야기를 흥미롭게 풀어낸 책입니다. 이번 후기는 송경진 박사님이 수고해 주셨습니다. 토독회에서는 지금까지 읽어온 책들을 바탕으로 올한해 새로운 이벤트(?)를 만들어 볼려고 합니다. 다음달쯤 대략적인 윤곽이 그려질것 같은데 자세한 내용은 그때 다시 공개하겠습니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재에 살다: 조선 지식인 24인의 서재 (박철상 저, 문학동네)송 경 진이 책은 저자가 국회도서관보.. 2016. 3. 21.
<토독회 북리뷰>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조선의 책과 지식은 조선사회와 어떻게 만나고 헤어졌을까? 지난 반 년 동안 진행된 포문도 토독회의 책의 목록은 아래와 같다. (나가미네 시게토시 저, 푸른역사, 2010) (니콜라스 카 저, 청림출판, 2015) (클라이브 톰슨 저, 알키, 2015) (백린 저, 한국도서관협회, 1969) (김세훈 저, 한국학술정보, 2009) 그동안 우리의 관심사는 ‘도서관과 책 읽는 시민’에서 ‘도서관의 역사’로, 다시 ‘책의 역사와 그것의 사회적 의미’로 초점이 이동되었다. 그리고 논의는 그 경계를 한국사회 속으로 설정하였다.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한국 사회 속에서의 도서관을 살피기 위한 과정이었던 것 같다. 이번에 읽은 책은 (강명관 저, 천년의 상상, 2014)이다. 이 책을 통해 책이 처음 만들어지던 당시의 상황과 그 사회 속에서의 책의 의미는 어떤 것인지를 알아보.. 2016. 3. 4.
[안내] 제15회 (사)포럼 문화와도서관 <열혈 사서들의 수다>에 초대합니다 (2/26) 제15회 (사)포럼 문화와도서관 에 초대합니다. 한때 전자책이 종이책을 대체할 것이라는 예측속에 우후죽순 전자도서관이 만들어지던 때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전자책 확산이 예상보다 더디게 진행되면서 전자도서관도 애초 기대만큼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올해 처음으로 열리는 에서 는 전자도서관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변화하는 환경속에서 전자도서관의 역할을 가늠해보고 향후 전자도서관의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의견을 함께 나누어 보고자 합니다. 도서관의 미래를 고민하는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행사개요 □ 0 주제 : 전자도서관은 도서관의 미래인가? 0 강사 : 인천광역시 도서관발전진흥원 손명희 주임 "책읽기 편한 도시 인천-스마트도서관 모바일 서비스 사례" 0 일시 : 20.. 2016. 2. 15.
<토독회 북리뷰> 문화공간의 사회학 - 국가, 공공영역 그리고 도서관 2016년 1월. 새해 첫 토요독서회(줄여서 토독회) 소모임에서 함께 읽은 책은 ‘문화공간의 사회학’(김세훈 저, 한국학술정보. 2009)입니다. 지난해말부터 토독회에서는 우리나라의 도서관史에 관한 책과 논문들을 중점적으로 읽어 왔는데, 이 책에서는 구한말 서구 근대도서관의 출현부터 90년대까지 도서관의 시대적 변천사를 수록하고 있어 이달의 책으로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모임에서는 애초에 의도했던 도서관의 역사에 대한 이야기 보다는 공공영역으로서의 도서관의 가치와 의미를 고민해 보는데 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도서관사라고 하는 것이 단순한 역사적 사실에 대한 지식얻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함께 연관지어 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완전히 동떨어진 내용.. 2016. 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