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마당18

ALA "Keeping public libraries public"자료 번역본을 올립니다. 지난 번 국립세종도서관 사태를 겪으면서 해외에 계시는 선생님과 ALA에서 낸 "Keeping public libraries public"이라는 자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었습니다. 미국도서관협회가 지역사회에서 공공도서관을 민영화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과 대응요령 등을 정리한 것이었는데 2011년 (사)포럼 문화와도서관이 발표한 '공공도서관 민간위탁 가이드라인'의 제작동기가 되기도 한 자료였습니다. 그 때의 일을 기억하시고 서울시의 사서선생님 한 분이 그 자료를 온전하게 번역해서 보내오셨습니다. 이제 일을 시작하신지 얼마 안 된 신규 사서이신 서울도서관 1년차 사서 양수임 선생님입니다. 어떻게 이런 생각을 하셨을까요? 정말 감사합니다. 바쁜 중에 자신의 시간을 쪼개어 다른 사람과 나눌 수 .. 2013. 7. 24.
2013년에도 꾸준하게 활동하겠습니다. 포럼이 트위터와 페이스북 활동과 함께 블로그를 병행하면서 세 가지 내용의 성격을 아직 잘 방향설정을 하지 못해서 블로그가 침묵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블로그 때문에 포럼 활동도 뭔가 쉬어가는 느낌이 들 것 같은 우려가 생기네요. 그렇지 않습니다. 포럼은 여전히 꾸준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2013년부터 좀 더 밀도 있는 활동을 만들어가고자 지난 1~2월 회의를 거쳐 지난해까지 사무국만 두고 활동해 오던 것에서 1국 3부의 체제로 변화를 주었습니다. 사무국, 교육출판부, 조사연구부, 대외협력부가 그것입니다. 각 부를 이끌어주실 회원님들도 선출하였습니다. 3월 회의에서 각 부별로 올해 집중하게 되는 사안들을 발표하실 텐데 그 회의가 지나면 좀 더 선명하게 포럼 활동을 인지하실 수 있도록 블로그에 올려두겠습니다... 2013. 3. 2.
<책소개> 공공도서관 문 앞의 야만인들 도서관학(문헌정보학)을 비롯하여 공학, 철학 등의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학위를 갖고 있는 에드 디 앤절로가 민주주의의 발달과 시민사회의 형성에 큰 역할을 했으며, 민주적 가치를 옹호하고 공익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공공도서관이 맞닥뜨린 현대 사회의 위기를 냉철하게 분석한 책이다. 저자의 다양한 학문배경에 걸맞게 철학적, 사회인식적, 역사적 통찰을 바탕으로 인위적으로 부추겨진 소비문화로 상징되는 포스트모던 소비자 자본주의가 어떻게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시민사회를 붕괴했으며, 그러한 가운데 공공도서관이 예전의 가치와 지위를 상실하고 대규모 자본에 의한 체인형 서점처럼 효율성과 능률의 잣대에 따라 기계적인 업무만을 수행하는 단순한 조직으로 전락하도록 강요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또 독자들에게 문화적 세.. 2011. 7. 7.
도서관과 사서가 필요한 33가지 이유 이 글은 아래의 사이트에 “더 이상 사서는 쓸모없는가?”라는 아주 도발적인 제목으로 올라온 글입니다. http://www.degreetutor.com/library/adult-continued-education/librarians-needed 이유는 원문에서 발췌했지만 부기된 설명은 원문과 달리 따로 작성한 것입니다. 제목에 혹해서 옮겼는데 내용을 보니 시차도 읽히고, 썩 좋은 글은 아닌 것 같네요. 작성날짜가 없어 확인을 못했습니다. 그래도 원칙적인 부분에서 참고할 만한 내용들이 있다고 생각되어 소개합니다. 어쨌거나 아무 것도 없는 것 보다는 뭐라도 정리된 것이 있는 상태에서 새로운 논의를 진전시켜 보는 것은 도움이 될 것 같아 실었습니다. 1. 모든 것을 다 인터넷으로 얻을 수는 없다. 2. 전자도서.. 2010. 9.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