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업 내용/토독회

토독회 북리뷰: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생각은 죽지 않는다》

by 포럼문화와도서관 2015. 8. 15.

()포럼 문화와도서관 김송이

 

 

니콜라스 카(2015).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클라이브 톰슨(2015). 생각은 죽지 않는다. 서울: 알키(시공사)

 

 

 이번 토독회의 토론 도서는 상당히 두꺼운 책 두 권이었다. 토독회는 한 달에 한 번, 월례회의 전에 진행되지만 7월에는 월례회의가 없어 두 달 만에 열리게 되었기에 6월의 토독회 때 아예 두 권의 책을 골랐다.

 읽기 전에는 책의 두께를 보고 걱정했지만 막상 읽어 보니 아주 어려운 책은 아니었다. 토론 중에도 언급되었지만 꼼꼼히 짚어가며 읽는 것보다는 전체적으로 읽어나가면서 생각할 부분을 짚는 것이 어울리는 책들이었다.


 제목만 보면 카의 책과 톰슨의 책은 정반대의 이야기를 다룬 것으로 보인다. 인터넷의 발달로 사람들은 점점 더 깊이 있는 독서를 피하고 그 때문에 생각을 덜하게 된다는 의견과, 그럼에도 생각은 계속될 것이다라는 의견의 대립으로 보이지만 실제 읽어보니 두 책은 같은 이야기를 하고 있다.


 책은 매체다. 지식과 정보를 담고 있는 하나의 형태다.
 최근에는 오랜 기간 동안 익숙하게 사용된 종이책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지식과 정보가 부유한다. 카는 이러한 환경의 변화로 사람들은 길고 긴 텍스트를 읽는데 어려움을 겪으며, 그 때문에 독서의 형태도 가볍게 읽고 지나가는 것으로 바뀌었다고 지적한다. 이에 대해서는 톰슨도 동의한다. 다만 두 저자가 보는 관점이 다를뿐이다. 카는 사람들의 독서 형태가 바뀌고 사고 형태가 바뀌고 또 컴퓨터와 인공지능의 발달로 인해 인간이 점점 퇴보할 것이라 우려한다. 반면 톰슨은 컴퓨터와 인터넷, SNS의 발달로 인해 시공간을 뛰어 넘은 집단지성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본다.


 위에 적은 글을 보면 짐작할 수 있겠지만 카보다는 톰슨의 생각에 공감한다. 물론 카의 지적처럼 문학소설 한 권을 긴 호흡으로 읽어내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우려한대로 컴퓨터와 인공지능 기술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지만 이러한 변화 역시 양날의 검이다. 즉, 읽기 방식의 변화는 많은 정보를 빠른 시간 내에 읽기 위한 기술의 변화이며, 첨단 기술 자체는 가치 중립적이고 어떻게 활용하는가는 인간의 몫이다. 카가 예로 든 인간을 이긴 체스 컴퓨터나 정신과 상담을 해주는 프로그램처럼 우려할 부분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톰슨이 제시한 다양한 활동과 사고 방식이 더 끌렸다. 위키백과의 편집, 아이티 지진과 이집트의 시위 사태 당시 구글지도와 SNS를 활용한 정보 공유와 자원 배분 등은 충분히 카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매력적이다.


 무엇보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지식과 정보를 담는 매체는 진화중이며 최근 들어 급속히 변화했다. 그렇다면 그것을 읽고 활용하는 방식 또한 종이책을 대할 때와는 달라지지 않을까. 물론 깊숙하게 읽고 생각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모든 사람이 그럴 필요는 없지 않을까.

 

 어떤 의미로는 토지도 태백산맥도 톨스토이의 장편 소설도 읽지 않은 자신에 대한 변호일지도 모르지만, 이 책 두 권을 읽어냈다는 것만으로도 아직 읽기 능력이 죽지 않았다고 위안을 해본다.

 


 책 리뷰만 적자니 조금 아쉬워서 토론 도중에 등장한 이야기를 덧붙인다.

 토독회에서는 매체의 변화, 사고의 변화에 따른 읽기 기술의 변화가 있어도 글쓰기의 중요성은 지속될 것이라 보았다. 다만 이러한 변화 속도를 도서관이 따라가지 못하는 것은 아닌가라는 우려가 있었으며 도서관의 존재 의의와 역할, 그리고 앞으로 사라질 직업 목록에 당당히 오른 사서에 대한 자성(自省)도 언급되었다.

 


 다음 토독회는 9월 둘째 주 토요일인 9월 12일에 있을 예정이며 토론 도서는 백린의 『한국도서관사』이다. 1965년에 발행되어 1981년에 재출간되었고,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원문을 제공하고 있다.